기초노령연금 소득인정액 계산법 완전정리 2025년

기초노령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매달 지급되는 국가 복지제도입니다. 하지만 단순히 나이만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기초노령연금 소득인정액이라는 기준을 충족해야 수급할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소득인정액이 무엇인지, 어떻게 계산하는지, 그리고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어떻게 활용하는지까지 하나하나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
기초노령연금

소득인정액이란?

소득인정액은 아래 두 가지 항목을 더한 값입니다.

  • 월 소득 평가액 : 실제로 매달 발생하는 수입
  • 재산의 소득환산액 : 보유 재산을 월 소득처럼 환산한 금액

2025년 기준 선정기준액

  • 단독가구: 2,020,000원 이하
  • 부부가구: 3,232,000원 이하

1. 월 소득 평가액이란?

실제 수입을 의미하며 다음 항목이 포함됩니다.

  • 근로소득 (알바, 일용직 등)
  • 사업소득 (가게 운영 수익 등)
  • 공적연금 (국민연금, 공무원연금 등)
  • 기타소득 (임대수익, 금융이자 등)

예시: 국민연금 50만 원 + 임대소득 20만 원 = 총 월 소득 70만 원

2. 재산의 소득환산액이란?

재산을 소득처럼 계산한 금액으로, 다음 항목이 포함됩니다.

  • 예금, 적금
  • 부동산 (주택, 토지 등)
  • 차량
  • 전세보증금 등 기타 자산

예시: 예금 1억 원 × 4% ÷ 12개월 = 약 33만 원/월

복지로 모의계산기로 쉽게 확인하기

소득인정액 계산이 어렵다면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이용하세요.

  1.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
  2. 상단 메뉴 ‘모의계산’ → ‘기초연금’
  3. 나이, 소득, 재산 입력
  4. 수급 가능 여부 및 예상 금액 확인

로그인 없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, 개인정보 저장도 되지 않아 안심할 수 있습니다.

요약 정리

항목내용
월 소득 평가액실제 월수입 (연금, 근로, 임대료 등)
재산 소득환산액예금, 부동산 등 자산을 소득처럼 환산
총 소득인정액위 두 항목 합산
단독가구 기준2,020,000원 이하 (2025년)

마무리하며

기초노령연금은 단순히 나이만으로 신청할 수 있는 제도가 아니라, 소득인정액 기준을 충족해야 가능한 복지제도입니다.

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,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 누구나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
댓글 남기기